korean songs

사랑을 위하여(For Love)

pure wisdom 2025. 5. 26. 21:53
반응형

사랑의 눈 맞춤

 
며칠 전 해남여행에 대한 유튜브가 방영되었는데 20여년 전 해남에
사시독자분으로 부터 편지를 받았던 기억이 났다.
그분은 제 블로그를 읽고 느낀 점을 명쾌하게 지적해 주셨다.
A few days ago, a YouTube video about a trip to Haenam was aired,
and it reminded me of a letter I received from a reader who had lived
in Haenam over 20 years ago.

That reader had pointed out their impressions from reading my blog
with remarkable clarity.

*좋은점: 제목을 참 맞게 결정한다.

*아쉬운 점

1)일어난 일을 너무 상세하게 엮어간다.
2)결론을 내리기 때문에 독자가 읽고 생각할 점이 없다.

*바라는 점

1)주제를 중심으로 미국과 한국의 차이
2)어떤일의 장단점
3)그런 것에 대한 필자의 생각
4) 가끔은 현실적인 이야기 - 회원님들에게 대한 안부 등등

Strength:
  • The titles are always very well chosen.

Areas for Improvement:

  1. The writing details events too thoroughly.
  2. Since conclusions are drawn too explicitly, readers are left with
    little room to think for themselves.

Suggestions:

  1. Focus more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U.S. and Korea around
    the main theme.
  2. Weigh the pros and cons of events or situations.
  3. Share the writer’s own thoughts on these matters.
  4. Occasionally include realistic, everyday stories—such as updates
    on community members.


사실 자기 자신의 글에 대하여 남들이 이러쿵 저러쿵 하며 참견 하는
것을 좋아할 사람은 없으리라.
To be honest, no one really likes others interfering or criticizing their writing.


그러나 그 독자의 지적에 많은 것을 느끼게 되었다.
우선은 내 자신이 독자를 배려하는데 성의가 없지않았나 하는 생각과
함께 나의글에 이렇게 관심을 가져주시는 분이 계시다는 사실에 가슴
이 뿌듯해왔다.
However, I gained a lot from that reader’s feedback.
First, I reflected on whether I had truly made an effort to be considerate of
my readers.

I also felt deeply moved to know that someone was taking such interest in
my writing.

 

요즈음 신문지상에 오르내리는 모든 사건 사고가 따지고 보면 타인에
대한 무관심과 편견이 만들어 낸 것이 아닌가 한다.

Looking at the various incidents in the news these days,
I can’t help but think that most of them stem from indifference or
prejudice toward others.

 

무관심은 사람을 황폐하게 만든다. 정치가가 국민들의 목소리에 무관심
하고 남편이 아내에게 무관심하고 선생님이 학생에게 무관심 할 때
세상은
죽어간다.

Indifference makes people desolate. When politicians ignore the voices
of the people, when husbands are indifferent to their wives, and when

teachers are indifferent to their students—the world begins to wither.

 

소위 학교에서 일어나는 "왕따" 현상이 사회 전반에 만연된 것 같다.
The phenomenon of school bullying, so-called "wang-tta", seems to have
become widespread throughout society.



자기 일 해결하기도 바쁜 세상에 남에 일에 관심을 갖는다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지 잘 안다.
I understand how difficult it is to take interest in others' affairs when
we’re barely managing our own lives.


 

그래서 요새는 이웃집에 누가 사는 지도 잘 모르는 일이 태반이고 이사를
오면 떡을 돌리며 인사하던 아름다운 장면도 보기 힘들어졌다.


That’s why, nowadays, most people don’t even know who lives next door,
and it’s rare to see the beautiful custom of welcoming new neighbors with
rice cakes.

 


오늘 아침 2025년 한국인의 기대수명을 알아보니 한국인의 평균수명이
84.5세로 남자는 81.6 세 이고 여자는 87.3 세이다. 나의 남아있는 기대
수명을
보니 약 10 년 정도 밖에 남지 않았으니 "아니 벌써?" 라는 말이
무심코 튀어나온다.

This morning, I looked up the current life expectancy of Koreans in 2025.
The average is 84.5 years: 81.6 for men and 87.3 for women.
Seeing that my own expected remaining lifespan is only about 10 years,
I couldn’t help but mutter, “Already?”

 

이제 벌써 인생의 9/10은 내뜻과는 전혀 관계없이 연기처럼 사라져 갔고
앞으로의 삶도 더이상 의미가 없으리라.

Already, 9/10 of my life has slipped away like smoke, regardless of my
intentions, and no one will ask how I choose to live the rest of it.

 
불교노래 '회심곡' 의 한 구절이 마음에 와 닿는다.
"우리 인생 늙어지면 다시 젊지는 못하리라. 인간 백년 다 살아도 병든 날과
잠든 날과 걱정근심 다 제하면 단 사십도 못살 인생..."
One phrase from a Buddhist song called "Hoeshimgok" resonates deeply
with me:
“When we grow old, we can no longer become young again.

Even if we live to be a hundred, after subtracting the days of sickness, sleep,
and worry, our true lifetime barely reaches forty.”

그 짧은 인생을 어떻게 사는 것이 사람답게 사는 것일까? "하루를 살아도
행복할 수 있다면..." 하고 노래하는 '김종환'의 '사랑을 위하여' 가 떠오른다.
How should we live such a short life in a way that is truly human?
I think of Kim Jong-hwan’s song “For Love”, which says, “Even if I live just

one day, as long as I can be happy…”

어느날 '자로'가 '공자'에게 물었다. "죽음이란 무엇입니까?"
"삶도 아직 다 모르는데 어찌 죽음을 말하겠느냐?"
One day, Zilu asked Confucius, “What is death?”
Confucius answered, “You do not yet understand life.
How can you speak of death?”


'자로'가 다시 물었다. "귀신을 섬기는 법을 말씀해 주십시요."
"사람도 다 못 섬기는데 어찌 귀신을 말하겠느냐?"
Zilu asked again, “Then please tell me how to serve the spirits.”
Confucius replied, “You do not yet know how to serve people.
How can you serve the spirits?”


공자의 사상은 '인(仁)' 으로 요약할 수 있겠다.

Confucius’ teachings can be summed up with the word “Ren (仁)”, or
“humaneness.”

 

'인'을 강조하다보니 논어에는 '인'이란 글자가 무려 106번이 나온다 한다.
'인(仁)'은 말 그대로 두 이(二) 자와 사람 인(人) 자를 합쳐놓은 것으로 인간
관계의 중요성을, 즉 삶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 아닐까 한다.
In fact, the word “Ren” appears 106 times in the Analects.
It is made up of the characters for “two” (二) and “person” (人),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human relationships—of life itself.


참다운 삶은 인간사이에 서로의 관심이 있을 때 진정한 삶의 보람이 나타
나게 된다.


True life finds meaning when people show genuine interest in one another.

 

말 못하는 식물도 사람이 관심을 기울여 주면 그렇지 않은 식물보다 성장
이 빠르다한다.
Even speechless plants grow faster when shown care compared to those that
are neglected.


자식들도 부모의 관심을 먹고 자란다. 관심이 바로 사랑이 아니겠는가?
먼저 가장 가까이 있는 가족에게 관심을 가져보자.
각 가정 마다 관심의 꽃씨를 뿌려보자.

Children also grow up nourished by their parents’ attention.
Isn't interest itself a form of love?

Let us first show interest in those closest to us—our families.
Let’s plant seeds of attention and care in each household.

 
이 조그만 꽃씨가 점점 자라나 사랑의 가족을 이룰때 서로 신뢰할 수 있는
사회가 이루어지지 않을까 소망해 본다.
I hope that these tiny seeds will grow into families full of love, and eventually
form a society built on mutual trust.
 
이제 일주일 후면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대선이 다가온다.
어느 누가 되던 진심으로 국민을 생각하고 앞으로의 천년 대한민국의 미래
의 초석을 굳건히 할 사람이 되기를 간절히 소망해 본다.
In just a week, the much-discussed and controversial presidential election will
take place. Whoever is elected, I sincerely hope it will be someone who truly
considers the people and will lay a solid foundation for the thousand-year future
of Korea.
 
저에게 각별한 관심과 애정을 보여주신 그 독자님께 다시 한번 감사를 드리며
변변치 않은 저의 글을 싫다 마다 하시고 끝까지 읽어 주시는 여러 회원님들
께도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사랑 기대
합니다.

I once again express my heartfelt thanks to the reader who showed me such
special attention and affection.

I am also deeply grateful to all the members who, despite my imperfect writing,
read to the end. I hope you will continue to offer your support and love.

 
김종환의 '사랑을 위하여'를 들으며 마음을 정화시켜 봅니다.

 

Listening to Kim Jong-hwan’s “For Love”, I try to cleanse and calm my hear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