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대한민국이 제 2의 IMF 사태와 같은 경제 위기를 맞을 수 있다는 어두운 전망과
함께 계속되는 전세사기에 많은 사람들이 피눈물을 흘리고 있다.
With dark predictions that South Korea could face an economic crisis similar to the
second IMF crisis in 2025, many people continue to shed tears due to ongoing rental
scams.
KBS NEWS 를 보니 2년 전 인천 미추홀구 일대에서 확인된 148억 원대 전세사기.
이른바 '건축왕' 남 모 씨 등에게 당한 피해자는 191명, 이중 피해자 4명이 숨졌다는
슬픈 이야기를 들으니 24년 전 미국 뉴욕에서 집문제로 고통을 당한 일이 생각난다.
According to KBS News, there was a rental scam worth about 14.8 billion won uncovered
two years ago in the Michuhol District of Incheon.
Victims of this scam, committed by so-called “Construction King” Mr. Nam and others,
numbered 191, and sadly, four of them have died.
Hearing this heartbreaking story reminded me of the hardships I once faced over housing
issues 24 years ago in New York.
뉴욕에 살다보니 한국에서도 경험치 못한 희한한 일들이 많이 생겼다.
주변환경도 좋고 학교도 가까이 있는 집을 구하기 위해 이번에는 복덕방에 의뢰를 했는데
"windsor oak"이란 co-op(코압) 을 소개해 주었다.
Living in New York, I encountered many unusual situations I had never experienced back
in Korea.
Trying to find a house with a good surrounding environment and close to schools,
this time I asked a real estate agency for help, and they introduced me to a co-op called
"Windsor Oak."
코압은 뜻이 맞는 사람들이 협력하여 운영협의회를 만들어 입주시에는 주인의 뜻과는 별도로
그 협의회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다소 까다로운 주택 단지였다.
A co-op is a type of housing where residents form a cooperative association, and moving in
requires approval from the board, regardless of the owner's intention, making it a somewhat
complicated process.
스프링휠드 블로바드(SPRINGFIELD BLVD) 에 위치한 이 코압은 아담했고 분위기도 평화
스러웠다.
집주인을 만나니 키도 크고 잘생긴 미국청년이었는데 별도의 인터뷰를 받지 않아도되게
자기가 처리하겠다며 걱정하지 말란다.
Located on Springfield Boulevard, the co-op was cozy and had a peaceful atmosphere.
When I met the owner, he was a tall and handsome young American man who assured me
not to worry.
he said he would take care of the board interview process himself.
큰애는 중학교(MS158: middle school)에 다녀 차로 학교에 바라다 주어야 했으나 둘째애는
초등학교(PS203: Primary school)가 바로 집근처에 있어서 안심이 되었다.
My eldest child had to be driven to middle school (MS158), but the younger one could walk
to elementary school (PS203), which was right nearby, so I felt relieved.
세번 째 집세를 낼 무렵 아침에 누군가 문을 거세게 두드리더니 편지 한통을 던지며 간다.
읽어보니 입주할 때 인터뷰를 안받았다고 며칠 몇시까지 출두를 하라는 코압 운영협의회에서
온 편지였다.
Around the time for the third rent payment, someone pounded on the door one morning and
threw a letter at me before leaving.
Reading it, I realized it was from the co-op board, summoning me to appear for an interview
on a specific date and time because I had not done so when moving in.
그래서 집 주인에게 그사실을 말하니 그날 나하고 같이 가서 자기가 도와줄테니 아무 걱정을
말라며 집세 1,000 불을 받아갔다.
When I told the landlord about it, he reassured me again, saying he would accompany me and
help, and he collected the $1,000 rent payment.
그런데 약속한 날에 집주인한테 전화를 하니 연락이 안된다.
할 수없이 "나 혼자 가야겠구나" 하는데 코압운영회에서 전화가 오더니 인터뷰가 연기 되었다
며 다시 연락을 주겠단다.
However, when the scheduled day arrived and I called the landlord, he was unreachable.
Resigned, I thought, "I guess I have to go alone," when the co-op board called me to say the
interview had been postponed and that they would contact me again.
그뒤로 일주일이 흘렀을까 이번에는 우편배달부가 왠 등기우편을 전달해 주고 가는데 씨티뱅크
에서 온 편지 였다.
About a week later, the mailman delivered a registered letter — it was from Citibank.
일주일 안에 집을 비우라는 내용과 기간내에 나가지 않으면 강제집행하겠다는 어마어마한
경고장 이었다.
The letter contained a massive warning: I had to vacate the house within a week,
or else they would proceed with a forced eviction.
미국에서는 집을 살때 한꺼번에 돈을 지불치 않고 은행에서 그집을 담보로 빚을 얻어 매달
얼마씩 갚아나가는 것이 보통인데 이 주인이 그 돈을 몇 달간 내지 않아 은행에서 이집을
경매에 내 놓으려는 것이었다.
In the U.S., it’s common to finance a house by taking a mortgage loan secured against the
property rather than paying in full.
But in this case, the landlord had failed to make payments for several months, and the bank
was moving to auction off the property.
한국도 아닌 미국에서 이런일만 자꾸 생기니 정말 다시 한국으로 돌아가고 싶은 심정이었다.
Experiencing such trouble — not in Korea, but in America — made me desperately want to
return home.
그래서 또 집을 구하려 다녀야 했는데 마침 "베이사이드" 에서 세를 낸다는 신문광고를 보고
아내와 같이 집을 보러 갔는데 왠 나이 많은 할머니가 큰 돋보기안경을 코에 걸치고 의자에 앉아
뜨게질을 하고 있고 침대위에는 시커먼 고양이가 웅크리고 있는 것이 마치 옛날 "빨간모자"
라는 동화에 나오는 늑대가 할머니로 변장하고 있는 듯한 느낌을 떨칠 수 없어 머뭇거리고
있는데 그제서야 앉으라며 의자를 내어주며 벌써 몇사람이 집을 보고 갔는데 서로 들어오려고
계약금을 주고 갔다며 식탁에 쌓인 신청자 명단을 보여준다.
I had to start looking for a new place again.
I saw a newspaper ad for a rental in Bayside and went to see it with my wife.
An elderly woman with thick magnifying glasses was sitting and knitting, and a black cat curled up
on the bed.
It felt eerily like the wolf disguised as a grandmother from the fairy tale "Little Red Riding Hood,"
making me hesitant.
She finally offered us seats and showed us a pile of applications on the dining table, saying many
people had already visited and even left deposits.
그러는 중에도 집을 보려오려는 사람들의 전화가 끊이지 않았다.
잠시후 어디론가 전화를 건 후에 옆집 2층이라며 구경하고 오라고 한다.
그집을 찾아가니 젊은 부부가 살고 있는데 이태리 가구에다 핑크빛 카페트로 깨끗하고 우아
하게 꾸며 놓은 집이었다.
Even while we were there, her phone kept ringing with people wanting to see the house.
After making a phone call, she told us to check out another unit on the second floor next door.
There, a young couple lived in a neatly and elegantly decorated home with Italian furniture and
pink carpets.
집이 깨끗하고 마음에 들어 할머니에게 자초지종을 얘기하고 늦어도 일주일 후에는 이사를
가야 한다며 가능하겠냐고 물으니 마침 잘 되었다며 우리가 보고온 그집도 일주일 있으면
이사를 간다면서 찾아온 다른사람보다 우리식구가 마음에 든다며 좋은 집이 흔한게 아니라며
미리 계약을 하는 것이 어떻겠냐고 제안을 한다.
We liked the house, and upon explaining that we had to move within a week, the elderly woman
said it was perfect timing —the current tenants were moving out in a week, too, and she preferred
our family over others.
She suggested we secure the place immediately by signing a contract.
할머니 인상은 별로였지만 일주일 안에 집을 나가야하는 압박감에 세달치 집세 3,300 불
을 주고 서둘러 계약을 했다.
아내가 왠지 할머니 인상이 마귀할멈 같다며 꺼림직하다 했지만 설마 계약서까지 썼는데
무슨일이 있으랴 싶어 애써 불안한 마음을 덮었다.
Despite my wife's unease — she said the grandmother looked like an evil witch —
the urgency of our situation pushed us to pay $3,300 for three months' rent and sign the contract.
집에 도착하여 씨티뱅크에 전화를 하여 늦어도 10일 후에는 나갈테니 독촉하지 말라고 했더니
기간 내에 비워주면 이사비용으로 1,200 불을 지급하겠다는 말을 한다.
After getting home, I called Citibank to tell them we would vacate within ten days.
They kindly offered $1,200 for moving expenses if we vacated within the deadline.
사람을 내보내는데도 이런 아량을 보여주는 은행측이 너무 고마왔다.
더군다나 은행측에서는 내가 7,800 불만 지불하면 내소유로 할 수도 있단다.
참 좋은 조건이었으나 벌써 계약을 하고 왔으니 어찌하랴.
They even said that for $7,800, I could buy the house — a great offer, but I had already
signed another contract.
이삿날은 다가오는데 아무래도 불안하여 전화를 해 확인을 하니 전화를 받지 않는다.
다음날 새벽부터 다이얼을 열이 나게 돌렸으나 전화를 받지 않아서 직접 그 할머니를 만나러
나섰으나 인터폰으로 밖의 사람 목소리를 확인한 후에 안에서 열어주는 시스템이였기에 안
에서 대답을 안하면 사람이 집안에 실제로 있는지를 확인하기 곤란했다.
As moving day approached, I became anxious and tried to call the elderly woman —
no answer.
I dialed repeatedly from early morning, but still no response.
I decided to go see her directly, but the building had a system where residents could check
voices via intercom before allowing entry,
so if she didn’t answer, I couldn’t even confirm she was inside.
아무래도 수상쩍어 바깥에서 기다리다 들어가는 사람이 있어서 함께 들어가서 문을
두드리며 할머니 이름을 부르는데 TV 소리는 나는데 대답을 안한다.
Suspicious, I waited outside until someone entered the building and slipped in with them.
I knocked and called out her name; I could hear the TV inside, but she gave no response.
안에 있으면서 일부러 피한다는 생각을 한 나는 문 앞에서 되는 영어, 안되는 영어를 구분 안하고
"해약을 하겠으니 돈을 돌려달라. 그렇지 않으면 고소하겠다"고 고래고래 소리를 질러댔지만
아무 반응이 없었다."
Feeling she was deliberately avoiding me, I shouted — in broken English — that I wanted to
cancel the contract and get my money back, or I would sue.
Still, there was no response.
문틈으로 내일 다시오겠으니 돈을 준비해 달라는 내용의 쪽지를 들어밀고 계단을 내려오는데
"야옹" 하는 고양이 소리가 비웃듯이 들려온다.
I slid a note under the door saying I would return the next day and asking her to prepare
the money. As I descended the stairs, I heard the cat’s mocking "meow" behind me.
하도 답답하여 한국인 변호사에게 물어보려했으나 담당비서가 3,000 불 정도 소액은 재판을
하면 더 손해라며 그 할머니를 잘 설득하란다.
I considered consulting a Korean lawyer, but his secretary said suing over $3,000 wasn’t worth
it and advised me to try to persuade the woman.
일주일이 지나 이삿날이 되었는데도 할머니는 만날 수 없었다.
그래서 우리가 구경했던 집을 직접 방문했더니 자기들도 아직 이사갈 집을 못 구했다며 한달 후
에나 가능할꺼란다.
A week passed — moving day arrived, but I still couldn’t meet her.
Visiting the house we'd toured, the tenants said they hadn’t even found a new place yet and
would move out in about a month.
그래서 할머니는 일주일안에 집을 비워줄 수 있다 했는데 무슨말 이냐 했더니 그런 말은 한적이
없단다. 이건 완전히 고단수의 사기에 걸린 것 같았다.
They also said they had never promised to move out in a week, meaning we had been completely
scammed.
괜찮은 집을 보여주고 사람을 모아 계약금을 챙기는 그런치졸한 사기에 놀아나다니......
어찌 이렇게 힘든 일만 생기는지 한숨만 나왔다.
The woman had shown a decent house to gather deposits from multiple applicants.
How could such hardships keep happening to me? I could only sigh.
10일 후에 씨티뱅크에서 더 이상 버티면 이사비용도 줄 수 없다며 빨리 나가 달란다.
Ten days later, Citibank warned they could no longer offer the moving expenses if I stayed longer.
그래서 다른 집을 구하기 위해 부랴부랴 복덕방을 찾아야 했다.
I rushed to find a new real estate agent to look for another house.
결국은 한달 만에 집앞에서 대기하다 만나게 됐는데 내인상이 너무 험악했는지 미안하게 됐다며
일주일 안에 돈을 주겠으니 오늘은 돌아가 달란다.
Eventually, after waiting outside her house, I met her by chance.
Maybe my furious appearance scared her, because she apologized and promised to return my
money within a week.
이러다간 영원히 돈을 떼일 것 같아 내가 직접 차용증을 써 싸인을 받았고 결국은 4 일 인가 후에
수표로 받았는데 그것도 못 믿겠어서 직접 할머니를 내차에 태워서 은행을 가서 현금으로 받아냈다.
Fearing I would never see the money again, I personally drafted an IOU and made her sign it.
Finally, after about four days, I received a check — but not trusting even that,
I took her to the bank myself and had the check cashed on the spot.
정말 악몽같은 기간 이었다.
아마 전생에 진 빚이 너무 많은 모양이다.
이글을 읽으시고 혹시라도 미국, 특히 뉴욕에 거주하실 분은 집 구하실 때 심사숙고하시길 바란다.
It truly was a nightmare period.
Perhaps I have a massive karmic debt from a past life.
To anyone planning to live in America, especially New York —
please think very carefully when looking for a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