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자랑스런 세종대왕
  • 이순신 장군
A Beautiful Life

지옥은 뉴욕에 비하면 오히려 천국(Even hell would be a paradise next to New York)

by pure wisdom 2025. 6. 24.
반응형

Street Parking at night

 

집을 구하고 난 후 새로 구입한 차를 가지고 BAYSIDE 집에서 JFK 국제공항

까지 지리를 익힐 겸 여러 가지 방법으로 SHORT CUT(지름길) 도 연구하며

다니길 6 일 째 되던 날 야근을 끝내고 집에 돌아오니 집 앞에 누가 시커만 차

를 주차하여 집에서 뒤로 10 여 미터 떨어진 길가에 차를 주차 시키고 집안에

들어오니 시계는 새벽 5시 20분을 가르키고 있었다.

 

After finding a house, I began commuting from my new home in Bayside to

JFK International Airport with my newly purchased car.

While getting familiar with the area, I spent the first six days trying out various

routes and researching shortcuts.

 

On the sixth day, after finishing a night shift and returning home, I found that

someone had parked a black car in front of my house.

 

So I parked my own car about 10 meters behind the house along the roadside

and went inside. The clock showed 5:20 AM.

며칠 간 집 앞 창가 옆에 주차해 놓았던 차가 눈앞에 보이지 않아 내심 불안

했지만 달리 방도가 없어 내일 아침 일찍 차를 집 앞으로 옮겨 놓으리라 생각

하고 잠깐 눈을 붙였는데 무었인가 달그럭 거리는 소리가 나서 눈을 뜨려해도

쉽게 떠 지지 않는다.

 

For the past few days, I had been parking my car by the window in front of the

house, and although I couldn’t see it that night, I tried to brush off my uneasiness.

I decided I would just move it to the front in the morning and closed my eyes for

a short rest.


그러다가 갑자기 불길한 생각이 나서 창문을 열고 집 뒷 쪽 길가를 바라보니

나의 흰색 자동차가 보이지 않는다.

 

Then I heard a rattling noise, but my eyes wouldn’t open easily.

A strange feeling crept over me, and I opened the window to look toward the

back street. My white car was nowhere to be seen.

"아이쿠" 하는 생각에 문을 박차고 달려 가보니 오늘 새벽 내가 주차해 놓은

공간이 훵하니 비어 있다.

 

“Oh no!” I gasped, flung open the door, and ran outside—only to find the space

where I had parked earlier completely empty.

눈을 비비고 "내가 딴데 차를 세웠을꺼야' 하며 내심 머리를 굴려봐도 이자리

가 틀림이 없다.

 

I rubbed my eyes, thinking, “Maybe I parked it somewhere else,” but no matter

how I thought about it, that spot was definitely the one.

그제야 뒷 머리가 띵 해지며 어지러워진다.
드디어 사건이 생겼구나 라는 생각과 동시에 다이얼 0 번을 정신 없이 돌려

"POLICE !" 라고 외쳤다.

 

That’s when a dull ache spread across the back of my head,

and I began to feel dizzy.

“Something’s happened,” I thought, as I frantically dialed 0 and shouted,

“Police!”


이곳 주소와 자동차 넘버를 대라고 하는데 아무 생각이나지 않는다.

 

They asked for my address and the license plate number, but I couldn’t

remember anything. 

가방을 찾아 집 계약서를 확인하여 주소를 불러 주고 자동차 번호도 산지 얼마

되지 않아 기억이 안 난다고 했더니 천천히 기억하라며 알겠다며 전화를 끊는다.

 

I rummaged through my bag to find the housing contract and told them the

address.

 

As for the license plate number, I explained that I had just bought the car and

couldn’t remember it. They calmly told me to try to recall and then hung up.

뉴욕에서는 사고가 났을 때 경찰이 죽었다고하면 제일 빨리 달려온다한다.

 

In New York, they say the fastest way to get the police to come is to report a death.

"경찰이 죽었다고 할껄" 하며 망연히 서 있는데 보험이 FULL COVER 가 아니라

보상도 못 받는구나 생각하니 한숨만 나온다.

 

I regretted not saying, “Someone’s dead,” as I stood there in a daze.

Then it hit me—I only had basic insurance, not full coverage, so there would be 

no compensation. I could only sigh in frustration.

"부천집 전세비로 마련한 차인데 일주일도 못 타고 도난을 당하다니...."
"정말 매일같이 새로운 욕이 나오는 뉴욕 이구나!"

 

“This car was paid for with the security deposit from our Bucheon home… and now,

I’ve lost it in less than a week.”


"BULL SHIT!"  아무리 착한 사람도 뉴욕에 살면 새로운 욕이 하나씩 생기는 것 같다.

 

“New York really brings out a new curse word every single day!”

“Bullshit!” Even the nicest person would end up inventing new curse words living

in New York.


갑자기 창밖이 환해지면서 누군가 문을 거칠게 두드린다.

경찰 2 명이 들이닫쳐서 이것 저것 물어본다.

 

Suddenly, the outside became bright, and someone knocked on the door loudly.

Two police officers rushed in and started asking me questions.


새벽 6 시 40 분 이다. 그래도 빨리 온 셈이다.
시간을 계산해 보니 도난은 5시 30분 부터 6 시 사이에 이루어 졌던 것 같다.

 

It was 6:40 AM. In a way, they arrived pretty quickly. Judging from the timeline,

the car theft must have happened between 5:30 and 6:00 AM.

정말 눈 깜짝 할 새이다. 차를 찾으면 연락을 주겠다며 5 분 만에 사라진다.

 

It all happened in the blink of an eye. They said they’d contact me if they found the

car and left after only five minutes.

마치 뉴욕에서 차도난은 별로 대단한 일도 아닌데 왜 귀찮게 하느냐란 피곤한

눈 빛을 하면서 이따 경찰서에 나와서 조서를 작성 하란다.

 

With tired expressions, as if saying, “Car theft? That’s nothing special here,

why bother us?” they told me to come to the station later to file a report.

 

한국에서도 경찰서에 간 기억이 없는데 뉴욕에 온지 일주일도 안되서 경찰서에
출두해야 하다니 정말 이건 꿈이라야 했다.

 

I had never even been to a police station in Korea, and yet here I was, less

than a week into my stay in New York, being told to report to one.

It felt like it had to be a dream.

 
$9,500 짜리 차를 6 일 간 탔으니 하루에 $1,600 정도를 주고 차를 탄 셈이다.

그당시 한국돈으론 150 만원 정도를 하루에 지불한 셈이다.

 

I had paid $9,500 for that car and only used it for six days—essentially spending

$1,600 per day.

At the time, that was roughly 1.5 million Korean won per day.

 

미국에선 차를 사면 한국처럼 등록을 하는데 자동차 등록증이 미국에서는

"TITLE" 이라 하는데 접수 후 보통 한달 정도가 걸린다.
그런데 자동차 등록증을 받기도 전에 차가 없어 졌으니 한마디로 황당했다.

 

In America, when you buy a car, you register it just like in Korea.

The U.S. calls this the “title,” and it usually takes about a month to arrive.

But in my case, the car was stolen before I even received the title.

It was absurd.

 

그런데 그 와중에 한국에서 전화가 왔다.

 

Amidst all this, I got a call from Korea.


2월 6일이 WIFE 생일 이여서 며칠 전에 꽃가게에 들려 장미꼿 100 송이를

보냈는데 잘 받았다는 전화였다.

 

It was February 6—my wife’s birthday.

A few days earlier, I had visited a flower shop and sent her 100 roses.

The call was to thank me.

 

"그래 생일 축하해.." 하면서 나중에 차를 잃어 버렸다하자 어머님이 도중에

나오셔서 그래 "몸 만 상치 않았으면 됐다며 위로를 하신다.

 

“Happy birthday…” I replied, and when I told her later about the stolen car,

my mother came to the phone and said, “It’s okay as long as you’re safe,”

trying to console me.

"유학 시절 $900 짜리 차를 타고 다니며 일주일이 멀다하고 수리하는데 차량

가격의 몇 배를 손해본 기억이 있어서 이번엔 괜찮은 차를 사서 3년간 잘 타고

다닐려 했는데... 무엇이 잘못 된는지."

 

Back during my student days, I used to drive a $900 car in the U.S., repairing

it every other week and spending way more than the car’s value.

 

So this time, I bought a decent vehicle hoping it would last me three years.
But somewhere, something had gone wrong.


그러나 이런 불안한 마을에서는 살기가 겁나고 교육에도 문제가 있을 것 같아

며칠 전 계약한 집 주인에게 전화하여 집을 옮기겠으니 DEPOSIT 한 돈을

달라니 줄 수 없단다.

 

I started to feel afraid to live in such an unsafe neighborhood.

It didn’t seem like a good environment for education either.

So I called the landlady I had signed a lease with a few days earlier and said

I wanted to move out and get my deposit back.

 

사정 사정하여 그 여주인이 다른 사람이 계약을 하면 받아 주겠다고 약속을 하고

또 신문의 광고란을 보아야했다.

 

After pleading with her, she agreed to return the deposit only if someone else

signed a new lease.

So, once again, I had to turn to the classified ads in the newspaper.

 

'Frank Sinatra'는 'New York, New York' 이라는 노래를 부르며 뉴욕을 찬양했지만 

'John Denver '는 대도시를 벗어나 고향과 자연 속의 평화로운 삶을 그리워하는

감성을 담은 대표곡인 'Take Me Home, County Roads" 로 인기를 끌었다.

 

While Frank Sinatra praised New York by singing “New York, New York,”
John Denver captured hearts with “Take Me Home, Country Roads,”

 a song filled with longing for the peace of nature and life away from the big city.

 

뉴욕에 넌더리가 나서 대도시의 삶은 어울리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고 앞으론 

'나훈아' 처럼  'John Denver '처럼 소도시에서 소박하고 평화롭게 살기를 원한다.

 

Tired and disillusioned with New York, I’ve come to understand that the bustling

life of a big city doesn't suit me.
From now on, I long for a modest and peaceful life in a small town, like Na Hoon-a 

and John Denver.

 

https://youtu.be/TdNlbQCciNg

https://youtu.be/qMZBeyp6-m0?si=0GqYttWsMgCTb9FH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