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유행하는 모든 것이 중국 기원이라는 중화사상이 중국을 망치고 있다.
The Chinese ideology that everything popular in Korea has Chinese origins is ruining China.
김치를 비롯한 한복은 물론 손흥민도 손오공 후예라며 중국인이라며 자랑하며 심지어 위키피디아
중문 판에는 세종대왕,김구,김연아도 조선족으로 둔갑시켜 버리는 그들의 뇌구조를 도저히 이해
할 수 없다.
They boast that they are Chinese, including kimchi and Hanbok, and that Son Heung-min is a
descendant of Son Wu kong.
I cannot understand the brain structure of those who can turn King Sejong, Kim Gu, and Kim Yuna
into Joseonjok in the Chinese version of Wikipedia.
같은 동양국가인데 어쩌면 그렇게 민족성이 치졸하고 더러운 지 일본을 능가한지 벌써 오래 전 일이다.
It's been a long time since they surpassed Japan, even though they are both from the same
East Asian country, because of their petty and dirty national character.
항상 대국이라며 한국을 무시하는 건방짐은 자격지심과 열등감의 다른 표현일 듯 싶다.
The arrogance of always ignoring Korea by saying that it is a great nations seems to be another
expression of inferiority and self-esteem.
다음 이야기는 원효스님이 중국 태화사의 스님과 신도들을 구제해준 이야기이다.
The following story is about Wonhyo saving the monks and believers of Taehwasa Temple in China.
송고승전(宋高僧傳)』에는 내원사의 창건설화가 다음과 같이 전해지고 있다.
In the ‘Biographies of High Monks of Song’, the founding story of Naewon Temple is told as follows.
원효대사(617∼686)가 경상남도 양산군 통도사 앞에 있는 지금의 천성산에서 수도하고 있을 때다.
This was when Wonhyo Daesa (617-686) was practicing asceticism at the current Cheon Seong
San Mountain in front of Tongdosa Temple in Yangsan-gun, Gyeongsangnam-do.
토굴에서 눈을 감고 가부좌를 튼 채 좌선에 들었던 대사는 갑자기 혀를 차면서 걱정스런 음성으로
혼잣말처럼 되뇌었다.
The monk, who had been sitting cross legged in the cave with his eyes closed, suddenly clicked
his tongue and muttered to himself in a worried voice.
『어허 이거 참 큰일났는 걸. 어서 서둘러야지, 그렇지 않으면 많은 사람이 다치겠구나.』
"Oh my, this is a big problem. We have to hurry, or else a lot of people will get hurt."
원효 스님을 시봉하기 위해 바로 윗방에 기거하고 있던 학진 사미는 참선 삼매에 들었던 큰방 스님이
갑자기 일어나 황급히 뭔가를 찾는 모습이 이상하기만 했다.
The monk Hakjin, who was staying in the room right above to serve Monk Wonhyo, found it strange
that the monk in the main room, who had been in meditation, suddenly got up and searched for
something in a panic.
『스님! 무슨 일이십니까?』
"Master! What's the matter?"
『화급을 다투는 일이 생겼느니라.』
"Something urgent has come up."
사미승은 어안이벙벙했다.
The monk was dumbfounded
『스님, 사방이 모두 조용하기만 한데 어디서 무슨 일이 생겼습니까?』
"Master, it's so quiet all around, what happened?"
『멀리 중국에서 변이 생길 조짐이니라.』
"There are signs of change in far away China."
사미승은 기가 막혔다. 중국에서 일어날 일을 알고 계시다니 도무지 믿어지지 않았다.
The monk was astonished. He could not believe that he knew what was going to happen in China.
그도 그럴 것이 천안통을 얻어 천하를 두루 볼수 있는 원효대사의 안목을 한낱 사미승이 어찌
이해하겠는가?
That would be the case. How could a mere novice monk understand the insight of Master Wonhyo,
who was able to see the entire world through the power of the Heavenly Eye?
원효대사는 급한 김에 딛고 서있던 마루의 판자를 뽑아냈다.
그리고는 「신라의 원효가 판자를 던져 중생을 구한다」는 글을 쓰더니 공중으로 힘껏 던졌다.
Wonhyo Daesa pulled out the plank of the floor he was standing on in a hurry.
Then he wrote, “Wonhyo of Silla saves sentient beings by throwing the plank,” and threw it
into the air with all his might.
판자는 마치 큰 새처럼 중국을 향해 날아갔다. 사미승은 큰스님의 괴이한 행동을 그저 의아스럽게
보고만 있을 뿐이었다.
The plank flew towards China like a large bird. The novice monk could only watch the great monk's
strange behavior with puzzlement.
한편 천 여 명의 스님과 신도들이 법당에 모여 막 법회를 시작하려던 중국 태화사에서는 난데없이 날아든
판자에 모두 놀랐다.
Meanwhile, at the Taihua Temple in China, where about a thousand monks and believers were gathered
in the main temple and about to begin a Buddhist service, everyone was surprised when a plank suddenly
flew in.
『아니 도대체 저게 뭘까. 이상한 물체가 이곳 법당 쪽으로 날아오고 있어요.』
"What on earth is that? A strange object is flying towards this temple."
한 신도가 갑자기 공중을 가리키며 소리치자 몇몇 신도들이 법당에서 나와 하늘을 쳐다보았다.
When one believer suddenly pointed into the air and shouted, several believers came out of the temple
and looked up at the sky.
『정말 저게 무엇일까? 거참 이상하게 생겼네.』
"What the heck is that? It looks so strange."
『나비도 아니고, 새도 아닌 저런 이상한 물체가 어디서 날아왔을까?』
"Where did such a strange object, neither a butterfly nor a bird, come from?"
『그런데 저 이상한 물체가 법당 주위를 빙빙 돌며 더이상 날아가지를 않는군요.』
"But that strange object is circling around the temple and doesn't fly away anymore."
법당 밖에서 괴이한 물체가 나타났다고 사람들이 웅성거리자 법당 안에서 법회를 보던 신도들도 이 광경을
보려고 모두 마당으로 나왔다.
When people started to murmur about a strange object appearing outside the temple, the believers who
were watching the service inside the temple also came out into the yard to see the sight.
이때였다.
It was at this time.
『우르릉 쾅.』
"Boom, boom."
멀쩡하던 법당이 요란한 소리를 내면서 무너졌다.
마침 사람들이 모두 밖으로 나온 뒤라 아무도 피해를 입지 않았다.
The temple, which had been intact, collapsed with a loud noise.
Since everyone had already come out, no one was harmed.
갑작스런 일에 잠시 정신을 잃었던 신도들이 정신을 차려보니 그제서야 날아다니던 판자가 태화사 경내에
떨어졌다.
The believers, who had lost consciousness for a moment due to the sudden event, came to their senses
only to find that the flying plank had fallen within the grounds of Taehwasa Temple.
사람들은 우르르 몰려가 그 판자를 보았다.
People flocked to see the plank.
『아니 이건 그 유명한 신라의 원효 스님이 우리를 구하기 위해서 날려 보낸 판자로군요.』
"No, this is the plank that the famous monk Wonhyo of Silla sent to save us."
판자를 보려고 몰려든 사람들은 머나먼 해동의 고승 원효스님이 천리안을 갖고 자기들을 구해준 사실을 알고는
모두 동쪽을 향해 합장 배례했다. 그리고는 원효 스님의 도력에 감탄을 연발했다.
The people who had gathered to see the plank, knowing that the great monk Wonhyo from the distant East
had saved them with clasped hands and bowed toward the east, then repeatedly expressed their admiration
for Wonhyo's magical powers.
『정말 대단하신 스님이군요.』
"What a truly great monk."
『과연 부처님 같은 성인이십니다.』
"You are truly a saint like Buddha."
『일찍이 거룩하신 성자인 줄은 알고 있었지만 이토록 큰 도력을 지니신 줄은 몰랐습니다.
이제 스승을 만났으니 그분 곁에 가서 수행을 하여야겠습니다.』
『I knew he was a holy saint, but I didn't know he had such great power.
Now that I have met the Master, I must go to him and practice.』
법회에 설법을 하러 나왔던 한 스님이 원효 스님의 도력에 감읍하여 신라로 떠나려하자 너도 나도 스님들이
줄을 이었다.
When a monk who had come out to give a sermon at a Buddhist ceremony was so moved by the magical
power of Monk Wonhyo that he decided to leave for Silla, many monks lined up to follow him.
스님뿐 아니라 재가 불자들도 원효 스님을 친견하고 법을 배우겠다고 나서니 천 여 명이 신라로 향했다.
Not only monks but also lay Buddhists came forward to see Monk Wonhyo in person and learn the dharma,
and about a thousand of them headed to Silla.
원효 스님을 찾아 신라로 들어온 그들은 모두 원효 스님에게 제자가 되기를 청했다.
그러나 움막 같은 토굴에서는 천 여 명이 기거할 수가 없었다.
They all came to Silla to find Monk Wonhyo and asked to become his disciples.
However, a thousand people could not live in a hut-like cave.
원효대사는 새로 맞은 중국인 제자 천 명이 머물 수 있는 새로운 절터를 찾아나섰다.
스님이 산을 내려오고 있는데 어디선가 백발의 산신령이 나타났다.
Wonhyo Daesa set out to find a new temple site where his thousand new Chinese disciples could stay.
As the monk was coming down the mountain, a white-haired mountain spirit appeared from somewhere.
『대사께선 절터를 찾고 계시지요?』
"Your Excellency, are you looking for a temple site?"
『그러하옵니다.』
"That's right."
『이 산 중턱 계곡에 이르면 천 여 명이 수행할 수 있는 아주 좋은 가람터가 있습니다.
다른 곳으로 가지 말고 곧장 그곳으로 가보시지요.』
『When you reach the valley in the middle of this mountain, there is a very good garam site where
a thousand people can practice.
Don't go anywhere else, go straight there.』
원효 스님은 걸음을 되돌려 산 중턱으로 갔다. 과연 그곳엔 스님을 기다리고 있는 듯한 반듯한 터가 있었다.
Monk Wonhyo turned back and went to the middle of the mountain. Sure enough, there was a flat area
waiting for him.
원효 스님은 그곳에 절을 세웠다. 그리고는 멀리 중국에서 천 명의 대중이 왔다 하여 올 래(來) 자와 멀 원(遠) 자
를 써서 「내원사」라 이름하였다.
Monk Wonhyo built a temple there. Then, as it was said that a thousand monks from far away China would come,
he used the characters for "come" (來) and "far" (遠), and named it "Naewonsa."
이 산 이름을 천성산이라 한 것도 중국에서 온 천 명의 대중이 원효 대사의 가르침을 받고 모두 깨침을 얻어
그 산에서 천 명의 성자가 나왔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The name of this mountain, Cheon Seong San, comes from the fact that a thousand monks from China received
the teachings of Great Master Wonhyo and all attained enlightenment, and a thousand saints emerged from
the mountain.
어느 날 제자들이 밤길을 걷다가 칡넝쿨에 걸려 넘어져 발을 빼고 무릎을 다쳤다. 제자들이 다친 모습을 본 원효
스님은 두번 다시 그런 일이 있을까 염려하여 이 산을 다스리는 산신령께 부탁했다.
One day, while walking at night, his disciples tripped on a vine and fell, hurting their feet and knees. Wonhyo,
who saw his disciples injured, was worried that something like that would never happen again,
so he asked the mountain spirit who ruled over the mountain.
『산신령께서는 우리 절 대중이 산길을 걷다 칡넝쿨에 걸려 넘어지는 일이 없도록 선처를 바랍니다.』
"I hope the mountain spirit will be merciful to the congregation of our temple so that they do not stumble over
the kudzu vines while walking along the mountain path."
그 뒤보터 이 산의 칡넝쿨은 옆으로 뻗지 못하고 위로만 꼿꼿하게 자란다고 한다.
It is said that the kudzu vines on this mountain do not grow sideways and only grow straight upward.
내원사(來遠寺)는 음은 같으나 언제부턴사 내원사(內院寺)로 표기하고 있다.
Naewon Temple (來遠寺) has the same pronunciation, but from some point on, it has been written as
Naewon Temple (內院寺).
그리고 원효 스님이 마루판자를 뽑아낸 절은 널빤지를 날려 보냈다 하여 척판암이라 명했다.
And the temple where Monk Wonhyo pulled out the floorboards was called Cheokpanam because the planks
were blown away.
'korean leg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국대전: 조선시대 최고 법전 (0) | 2025.03.05 |
---|---|
복을 찾아 삼 만 리(A journey to find happiness) (0) | 2025.02.14 |
서산대사와 사명대사(Master Seosan and Samyeong) (1) | 2025.01.19 |
세조와 문수보살(King Sejo and Bodhisattva Munsu) (0) | 2025.01.18 |
을사년(乙巳年)을 맞이하며(Celebrating the Year of the Eul Sa) (0) | 2024.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