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자랑스런 세종대왕
  • 이순신 장군
A Beautiful Life

미제가 최고라고 생각했던 시절: 미녀와 야수 (Beauty and the Beast)

by pure wisdom 2025. 5. 14.
반응형

링컨 콘티넨탈 MARK V

 
미국에서는 운전면허(DRIVER LICENSE)가 거의 모든 신분증을 대신한다.
일반적으로 ID(IDENTIFICATION CARD) 하면 소셜시큐어리티 넘버
보다도 운전면허를 말하게 되는데 우리나라의 주민등록증 정도로 생각하면
될 듯하다.
In the United States, a driver’s license essentially serves as the main form
of identification.

When people mention an "ID" (identification card), they’re usually referring
to a driver’s license, rather than a Social Security Number.

You can think of it as equivalent to the Korean resident registration card.


그래서 미국에서 살려면 이 운전면허증이 필수인데 주마다 틀리지만
보통 만 18세 가 되면 시험볼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게 된다.
That’s why, if you want to live in the U.S., having a driver’s license is
essential.
Although it varies by state, people are generally eligible to take the
test at the age of 18.



이렇게 중요한 운전면허증을 아내가 딴 후에도 안심이 안되어 장거리를
가던지 낯설은 장소에 가게 될 경우에는 내가 직접 핸들을 잡곤했다.
Even after my wife got her driver’s license, I still wasn’t completely at ease.
Whenever we had to go on a long trip or to an unfamiliar place,
I would usually take the wheel myself.
어느정도 지나자 왠만한 거리는 집사람 혼자서 운전할 수 있게 되었다.
But after some time, she became confident enough to drive alone for
most local trips.


그러던 어느날 운동한다고 차를 두고 자전거로 학교에 다녀왔는데 전화
벨소리가 울려 받아보니 '카본데일'학교 경찰서인데 우리차 번호를 대며
오늘 오전 외출한 적이 없었냐고 물어본다.
Then one day, I left the car at home and rode my bike to campus to get
some exercise. While I was at school, I got a phone call — it was from
the campus police at Carbondale.

They asked if I had taken my car out that morning, and mentioned my
license plate number.
그래서 오늘은 내차를 두고 자전거로 학교에 다녀왔다며 차량을 사용한
일이 없다고 말하니 어느 할머니의 신고가 들어왔다며 내차가 "내쇼날 푸드
(NATIONAL FOOD : 식료품가게)" 주차장에서 남의 차 옆구리를 받고 도망
갔다는 것이었다.
I told them that I had ridden my bike and hadn’t used the car at all.

That’s when they told me that a report had come in from an elderly lady
claiming that my car had hit another vehicle in the parking lot of National
Food, a grocery store, and then fled the scene.

그래서 차번호를 물어보니 앞의 알파벳은 모르지만 번호가 681 인 회색 세단
이었다고 하는 것이 우리차 임에 틀림 없다.
When I asked for more details, they said it was a gray sedan with the license
number ending in 681 — that was definitely our car.
"혹시 집사람이!" 하는 생각이 문득들어 바로 확인해서 연락을 주겠다고 말하고
전화를 끊었다.
Suddenly, I thought, “Could it have been my wife?” I told the officer I’d check
and get back to them.
옆에서 무심히 듣던 아내의 얼굴에 긴장감이 돌며 "어디서 온 전화야? ... "
하면서 말꼬리가 약해진다.

My wife, who had been listening nearby, looked suddenly tense and nervously
asked, “Who was that on the phone...?” Her voice trailed off.
아까 오전에 "NATIONAL FOOD" 에 다녀온 적이 있냐고 하니까 "경찰이 뭐래?"
하면서 겁먹은 얼굴이다.
I asked her if she had gone to National Food earlier that day, and she replied
with a worried expression, “What did the police say?”

"그래. 어떤 할머니가 자기가 남의차를 받아놓고 도망갔다고 신고가 들어왔대."

I told her, “Apparently, a grandmother reported that someone hit a car and then
drove off.”
어떻게 된 일 이냐고 물으니 집에 있다보니 심심하고 마침 우유가 떨어져 그 식료품
가게에 갔었는데 주차장에서 차가 크다보니 옆에 주차되어 있던 남의 차를 긁으며
들어가게 되었는데, 주위를 보니 사람이 없어 몰래 다시 차를 빼어 다른 곳으로 이동
주차시켰다가 장을 본 후 집으로 돌아왔는데 이것을 벤치에 앉아 있던 어떤 할머니
가 보고 그차 주인이 나오자 알려준 모양이었다.
When I asked what had happened, she admitted that she had gotten bored at home
and decided to run out to the store since we were out of milk.

In the parking lot, the space was tight and, while pulling into a spot, she scraped
the car next to her.

Seeing no one around, she quietly moved our car to a different spot and went inside
to shop before heading home.

It turns out a grandmother sitting on a nearby bench had seen the whole thing and
told the car’s owner.


미국에서는 이렇게 남의 일에도 관심을 가지고 문제가 생기면 신고를 해 줄 정도로
시민정신이 투철한 사람들이 많다.

 

In America, people are very vigilant and take civic responsibility seriously —
they’ll report things even if they’re not directly involved.


범인이 들어난 이상 빨리 자수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 교내 경찰서에 전화를 하여
실수로 그렇게 됐다며 그차 주인을 만나게 해달라니 전화 번호를 가르쳐 준다.


Since the incident had already been reported, I figured it would be best to come clean.
I
called the campus police and explained that it was a mistake, and asked if I could
speak with the owner of the other car. They gave me her phone number.


전화를 하여 주인에게 어떻게 했으면 좋겠냐고 물으니 다행히 20불 만 주면 없던 걸로
하겠단다.
When I called and asked what she wanted to do, she thankfully said she’d be fine if
I just gave her $20.

그래서 부리나케 약속 장소로 나가 보니 뜻밖에 어떤 눈이 큰 예쁘장한 흑인 아가씨가
어울리지 않게 거므티티하고 허름한 '링컨 콘티넨탈'이란 차 안에 앉아 있다가 나를
발견하고 차문을 열고 나오는데 문짝에서 '삐그덕' 소리가 요란하다.

So I rushed to meet her, and to my surprise, a pretty young Black woman with large
eyes was sitting inside an old, beat-up Lincoln Continental.

As she got out of the car, the door made a loud creaking noise.

미안하다며 긁힌곳이 어디냐고 물어보니 손으로 운전석 문짝 어느 한 부분을 가르키는
데 구분이 안된다.
When I apologized and asked where the scratch was, she pointed vaguely at the
driver’s side door — but I honestly couldn’t tell where the damage was.


자세히 살펴보니 차 전체가 온통 페인트가 벗겨지고 찌그러져서 상처투성이었고
차 뒤 쪽의 녹슨 머풀러(MUFFLER:소음기)는 뒷 범버(BUMPER) 에 철사로 힘들게 겨우
땅에 닿을 듯이 매달려 있고 조수석 옆의 사이드미러는 목이 꺽인채 차창에 건들거리고
있었다.
Upon closer inspection, the entire car was covered in peeling paint, dents, and scratches.
The rusty muffler was barely hanging on by a wire from the rear bumper, almost touching
the ground, and the side mirror on the passenger side was dangling loosely from the window.

 

이미 전성기의 '링컨 컨티넨탈'의 위용은 사라진지 오래고 하나의 흉칙한 고철더미에
불과했다.

부자나라 미국에서 이런차가 굴러다닌다는 것이 새삼 믿어지지도 않았고 주인인 아가씨와
이차의 관계는 마치 '미녀와 야수'를 연상케해 줄 정도로 너무나 어울리지 않았다.

The once-mighty Lincoln Continental had long lost its glory — it was now just a hideous
heap of scrap metal.
I was honestly shocked to see a car like that still driving around in such a wealthy country
as the U.S.

The girl and the car were such an odd pair that they reminded me of “Beauty and the Beast.”



알고 보니 이 아가씨도 SIU 학생이었는데 경제학을 전공한단다.아내가 운전이 서툴러 그랬다며
사과를 하고 20불을 건네자 "탱큐" 하면서 차로 돌아가서 운전석에 앉아
파란 20불 짜리 지폐에
입을 맞추더니 지폐잡은 손을 나에게 흔들며 시동을 건다.
It turned out she was a student at SIU, majoring in economics.

My wife apologized and explained that she was still getting used to driving, then handed over
the $20.

The girl said “Thank you,” went back to her car, and, while sitting in the driver’s seat,
kissed the blue twenty-dollar bill, waved it at me, and started the engine.

"퍼버벙 펑펑 둥둥둥둥.." 하는 요란한 소리를 뒤로 한채 그 고철덩이는 내 시야에서 그렇게
사라져 갔다.
With a loud rattle — “Pubb-bang! Pff-pff-dung-dung!” — the clunker drove off and disappeared
from view.

"썩어도 준치" 라는 말 처럼 그 대단한 "링컨 콘티넨탈" 차는 내가 "카본데일"을 떠나기 몇개월
전 까지도 온 마을을 누비고 다녔고 심지어 '카본데일'시에서 벗어난 '메리온(MARION)'시에서
도 볼 수 있었다.
Just like the Korean saying, “Even rotten fish can still be decent mackerel,” that old Lincoln
Continental kept roaming around town for months before I left Carbondale.
I even spotted it in Marion, a nearby city.

그차가 지나갈 때면 고장난 머풀러의 소리가 하도 요란하고 특이해 집안에 앉아서도
어느쪽을 향하여 가고 있는지도 알 수 있을 정도였다.
Whenever it passed by, the muffler made such a loud and distinctive noise that I could tell
which direction it was headed, even from inside the house.

집에 돌아온 나는 미안해 하는 아내에게 그런차라면 얼마든지 들이받아도 좋다고 위로했다.
그뒤 어느 주차장에서든지 우리차는 가장 빨리 찾을 수 있었는데 차량이 모여있지 않은 넓은
구석장소에 홀로 외롭게 서 있는차는 우리차가 분명했기 때문이다.

When I got home, I comforted my apologetic wife by saying, “If it’s a car like that, you can crash
into it any time — no big deal.”

After that day, it became easy to find our car in any parking lot — it was always the one parked
alone, off in some quiet corner, far away from all the other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