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자랑스런 세종대왕
  • 이순신 장군
A Beautiful Life

미국에서 우유를 모독하면 생기는 일(What Happens When You Disrespect Milk in America)

by pure wisdom 2025. 6. 17.
반응형

우유는 역시 맛있네

 

남부일리노이대학(SIU)에 입학후 일년반이 지났을까 겨울방학이 돌아왔다.

유학생이 통털어 25 여명 정도 이었는데 대부분의 학생들이 한국으로 식구들

만나러 떠나고 이곳 "카본데일"에는 총각 몇몇과 우리 부부 만 남게되었다.

 

It had been about a year and a half since I enrolled at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SIU) when winter break finally came around.

 

There were about 25 international students in total, and most of them left to visit

their families in Korea. In the town of Carbondale, only a few bachelors and my

wife and I remained.

그동안 남편 공부 뒷바라지 하느라 숨소리도 제대로 못내던 아내가 애처러워

경영학 공부를 하던 총각 구본흥씨를 꼬시어 카본데일- 내시빌-테네시-버밍험-

뉴올리안즈 까지 자동차 여행을 하기로 했다.

 

Feeling sorry for my wife, who had been quietly supporting my studies all this time,

I decided to plan a road trip. I persuaded Mr. Koo Bon-heung, a bachelor studying

business, to join us on a drive from Carbondale to Nashville, Tennessee, Birmingham,

and finally New Orleans.

일리노이주에서 루지아나주까지 "델타88" 이란 세단을 타고 드디어 출발하였다.

 

We set off in a sedan called the “Delta 88,” heading from Illinois all the way down to

Louisiana.

 

일행은 우리부부 및 몇개월 전 태어난 귀여운 딸 상미, 그리고 구본흥씨 였다.

김밥도싸고 콜라 및 커피등 음료수와 상미가 먹을 우유등을 준비하고 남으로

남으로 기수를 향했다.

 

Our group consisted of my wife, our adorable daughter Sang-mi—who had been born

just a few months earlier—and Mr. Koo Bon-heung.

 

We packed some kimbap, drinks like cola and coffee, milk for Sang-mi, and hit the

road heading south.

 

한없이 펼쳐진 너른 들판과 유전과 끝이 없이 흐르는 미시시피강 등 정말 가슴이

탁트이는 오랜만의 해방이었다.

 

Driving past endless fields, oil wells, and the vast, flowing Mississippi River,

I felt a long-overdue sense of freedom and release.

 

그러던 중 어느새 하루해가 저물어 어느 모텔에서 묵으면서 아내와 상미를 먼저

자게하고 구본흥씨와 둘이서 "올드스타일" 이란 맥주와 더불어 많은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다.

 

As night fell, we stopped at a motel to rest. After putting my wife and Sang-mi to bed,

Mr. Koo and I stayed up talking over cans of “Old Style” beer.

 

사업을 하시는 집안의 둘째 아들로 서울에 많은 부동산과 빌딩을 가지고 있는

소위 있는집 아들이었으나 다른 총각들과 달리 무척 겸손하고 예의바른 청년

이었다.

 

Mr. Koo was the second son of a wealthy family that owned multiple buildings and

real estate in Seoul.

 

Despite his background, he was remarkably humble and well-mannered, unlike many

other bachelors.

그 다음날 일찍 출발해서 한시간 쯤 왔을까 상미 우유를 줄려고 하니 젖병 및

우유통이 안보인다. 아마 모텔방에 두고온 모양이었다.

 

The next morning, we hit the road early. After about an hour, we realized that Sang-mi’s

milk bottle and container were missing—apparently left behind in the motel room.

 

상미가 배고프다고 울고해서 우유를 사려고 식료품가게를 찾으니 보이지 않는다.

우여곡절 끝에 노란색의 맥도널드 햄버거집이 눈에 들어왔다.

 

When Sang-mi began crying from hunger, we searched for a grocery store to buy milk,

but couldn’t find one. After some difficulty, we spotted the familiar yellow arches of a

McDonald’s.

옳지 됐다 싶어 부리나케 주차를 한 후에 안으로 들어갔다.

남쪽이라 그런지 백인보다 흑인이 더 많이 눈에 띄었다.

 

Relieved, I quickly parked the car and went inside. Being in the South, I noticed more

African Americans than white people.

 

점심때가 안되었는데도 사람들이 줄에 서서 대기하고 있었고 나도 아무생각 없이

대기하고 있는데 이윽고 앞의 사람이 물러가고 내 차례가 되었다.

 

Though it wasn’t lunchtime yet, there was already a line, so I got in line as well.

When my turn came, the cashier greeted me with a “May I help you?” and I confidently

responded, “Milk, please.”

"MAY I HELP YOU?" 란 소리에 "밀크 프리스(MILK PLEASE) 라고 대답했는데

흑인 아가씨가 쏘리(SORRY?) 하면서 어깨를 으쓱거린다.

 

The young African American woman looked confused and said, “Sorry?” while shrugging

her shoulders.

 

그래서 너무 간단해서 못알아들었나하고 다시한번 "밀크 프리스 훠 마이 베이비

(MILK PLEASE FOR MY BABY) 라고 했는데 어색한 웃음을 흩날리며 못알아

듣겠단다.

 

Thinking my request was too short or unclear, I tried again: “Milk, please, for my baby.”

But she just gave me an awkward smile, clearly still not understanding.

내 뒤를 보니 예닐곱 명이 순서를 기다리고 있는데 앞에선 못 알아 듣고 뒤통수가  

뜨끈거리며 갑자기 뭐가 잘못된 것인지 알 수가 없었다.

 

I glanced behind me and saw six or seven people waiting. Embarrassed and confused,

I couldn’t understand what was going wrong.

 

이런 간단한 단어 4 글짜(MILK)를 못알아 듣다니 너무 심하다 싶은데 얼굴은 벌개

지고 가슴은 갑자기 뛰는데 머리 속에는 예전 중학교 영어 선생님이 강조하신

"L" 과 "R" 발음을 구분해서 잘 써야 한다는 얘기며 "워터" 가 아니고 "워러"며

"몽고메리 크리프트"가 아니고 "망가메리크리프트" 라고 해야 알아 듣는다 했는데

이건 긴 단어도 아니고 단지 넉자의 간단한 말이지 않는가?

 

I thought, How could she not understand such a simple four-letter word like "milk"? 

My face turned red, my heart raced, and memories of my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

warning about proper pronunciation of “L” and “R” flooded my mind. 

It’s not “water” but “warter,” not “Montgomery Clift” but “Mongomery Clift.” 

But this was just “milk”—a basic, short word!

 

순간 머리속은 하얗게 비워져가고 눈앞은 안개속 같이 희미해져온다.

 

My mind went blank, and my vision began to blur like fog.

간신히 정신을 차리고 다시한번 "멜크","미일크",밀크으" 등 별 소리로 강세를 앞에

다가도 주어보고 뒤에다가도 주어보고 하는데 내 뒤통수에 꽂히는 날카로운 시선

으로 뒤통수는 뜨뜻해오고 주문 받는 아가씨는 어색한 웃음만 날리고 결국은

"엠 아이 엘 케이 (M. I. L. K)라고 스펠링을 불러주니 "오~ 미얼크" 하면서 그제야

아는척을 한다.

 

Desperately, I tried all kinds of pronunciations: “Melk,” “Mee-ilk,” “Milk-euh,” changing

the stress from beginning to end.

But all I got was her puzzled smile and the growing pressure of impatient stares behind

me.

 

Finally, I spelled it out: “M-I-L-K.” And then, with a look of recognition, she exclaimed,

“Oh~ meeyulk!” as if it had finally clicked.

자동차에 도착하니 왜 이리 늦었냐고 아내가 물어보는데 그냥 "사람이 꽤 많더군"

이란 말로 대신 할 수 밖에 없었다.

 

When I got back to the car, my wife asked why I took so long.

All I could say was, “There were a lot of people inside.”

 

정말 영어 발음이 이렇게 어려울 줄 이야! 그간 공부한 민병철 영어도 소용이 없었다.

그 다음 부터 어딜 가든지 MILK 는 나의 주문 품목에서 영원히 사라져야했다.

 

I never imagined English pronunciation could be this hard. All the English I’d studied from

Min Byung-chul’s tapes had been useless.

From that day on, “milk” was permanently removed from my list of words to order.

나중에 말 할 기회가 오겠지만 학교 수업에서도 "컴퓨터(COMPUTER)"발음을 잘못하여

망신을 당한 적도 있고 미사일(MISSILE) 발음도 '미쓸' 로 해야 알아듣고 오페라(OPERA)

도 '오프라' 라고 해야 알아들으니 영어발음이 이렇게 어려울 줄이야.

 

There’ll be another time to talk about this, but I once embarrassed myself in class for

mispronouncing “computer,” and even “missile” wasn’t understood unless I said “miss’ll.”

“Opera” wasn’t “opera” but had to be “oprah.”

I never imagined English pronunciation could be so difficult.

참 여행 중에 잊지 못할 음식이 있는데 " 뉴올리안즈"에 가면 커다란 굴을 싸게 파는데

몇 불어치 만 사면 거의 양동이로 하나 가득 주는 상점이 있다.

 

One unforgettable food experience from that trip was in New Orleans.

There was a shop that sold huge oysters at a bargain—just a few dollars got you a

bucketful.

 

이름은 지금은 생각이 나지 않지만 돌아오는 길에 차 안에서 굴로 식사를 대신했는데

고추장없는데 그렇게 맛있게 굴을 먹은 기억은 그때가 처음이었던 것 같다.

I don’t remember the name of the place, but on the way back, we had oysters in the car

instead of a regular meal.

Even without gochujang (red pepper paste), it was the most delicious oyster feast I’d

ever had.

 

독자여러분들 가운데 혹시라도 '뉴올리안즈'에 가실 기회가 생기면 반드시 굴은 챙겨

드시고 미남부에서는 우유는 웬만하면 시키지 마시고 콕(코카콜라)으로 대신하세요.


If any of you, dear readers, ever get the chance to visit New Orleans, be sure not to miss

out on the oysters — they’re an absolute must.

In the Deep South, it's best to avoid ordering milk if you can — just go with a Coke instea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