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자랑스런 세종대왕
  • 이순신 장군
A Beautiful Life

미국 대학에서 살아남기(Surviving American University Life)

by pure wisdom 2024. 11. 18.
반응형

미국 대학교 전경

 
SIU (남부일리노이대학) 에서 AVIATION MANAGEMENT(항공경영학)와 AVIONICS(항공전자학)을 전공했는데
그 당시만해도 한국이 어디 있느지 모르는 미국사람이 꽤 많았다.
I majored in Aviation Management and Avionics at SIU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and at that time, there were quite a few Americans who did not know where Korea was.
맨 처음 수강신청을 하는데 로보트 브라운이란 담당교수가 어디에서 왔느냐고 물어봐서 대한민국(SOUTH KOREA)
에서 왔다니까 고개를 갸우뚱하면서 어딘지 모르겠단다.
When I first registered for the course, the professor in charge named Robot Brown asked me where I was from, 
and when I told him I was from SOUTH KOREA, he tilted his head and said he had no idea where.
마치 아프리카 쯤 되는 후진국에서 온 촌놈으로 생각하는지 쳐다보는 파란 눈빛이 별로 마음에 안든다.
I don't like the way the blue eyes look at him, as if he thinks he's a hillbilly from an underdeveloped country like 
Africa.

자존심이 상해서 일본은 아느냐고 물어본 후에 그 북서쪽에 위치한 나라가 우리나라라고 설명을 해주어도 이해가
안되는 모양이다.
Out of pride, I asked him if he knew about Japan, and then I explained that the country located to the northwest was Korea, but he didn't seem to understand.
미국에선 지리도 안가르치는지 도대체 대학교수라는 사람이 교양 면에서는 별로인 것 같다.
In the United States, college professors who don't even teach geography seem to be not very good at liberal arts.

이렇게 1988 년 올림픽을 개최하기 전 까지 대한민국을 아는 사람은 예상외로 적었다.
Before hosting the 1988 Olympics, there were surprisingly few people who knew about Korea.


그러던 어느날 로버트 박사가 '화이버 옵틱'(FIBER OPTICS : 광섬유) 의 응용기술에 대하여 논문을 제출하라고하여
도서관에서 며칠 간을 지새우며 자료를 준비하여 겨우 마감일에 제출할 수 있었다.
Then one day, Dr. Robert asked me to submit a thesis on the application technology of ‘Fiber Optics' I spent several days at the library preparing materials and was finally able to submit them on the deadline.
그런데 그 다음날 수업이 끝난후 로버트 박사가 나를 보자고 한다.
But the next day, after class, Dr. Robert asked to see me.

불안한 마음에 교수를 찾아갔더니 내가 쓴 10 페이지 짜리 글을 책생위로 던져주는데 첫 페이지 부터 빨간 싸인펜으로
쭉쭉 그어져 있다.
Feeling anxious, I went to see the professor, and he handed me a 10-page article I had written, and the first page was drawn straight with a red felt-tip pen.
첫째; 타자기로 타이핑하여 제출해야 되는데 자필(HAND WRITING) 로 썼기 때문에 5점 감점

둘째; 논문에 인용한 참고문헌(BIBLIOGRAPHY)에 대한목록이 없어서 3점 감점

first; You have to type it on a typewriter and submit it, but because you wrote it by hand, 5 points will be deducted.
second; 3 points were deducted because there was no list of references (BIBLIOGRAPHY) cited in the paper.
그리고 곳곳에 영어 문맥이나 문법 또는 영어 스펠링이 잘못되서 0.2 점에서 0.5 점 감점 등으로 내가 쓴 글보다 교수가
지적한 빨간 글씨가 훨씬 많았다.
And there were many more red letters pointed out by the professor than my writing, with 0.2 to 0.5 point deductions 
due to incorrect English context, grammar, or English spelling.

내가 타이핑하는 방법을 몰라서 직접 썼다하니까 타이핑은 기본이라며 앞으로도 타이핑하여 제출치 않으면 계속
손해를 감수해야 할꺼란다.
When I told him that I didn't know how to type and wrote it myself, he said that typing was basic and that if I didn't 
type and submit it in the future, I would have to continue to suffer losses.

그때만(1984년) 해도 미국에서도 PC 가 아직 활성화 되기 전이라서 타이프라이터를 사용하는 미국학생이 많을 때였고
한국학생은 한국에서 타이핑을 해본 사람을 제외하고는 사용한 경험이 별로 없는 터였다.

At that time (1984), PCs had not yet become popular in the United States, so many American students used type
writers. Korean students had little experience using it, except for those who had typed in Korea.

그래서 그교수에게 기회를 더 달라하여 다시 제출하겠다고 하니 모든 학생에게 평등해야하니까 내일까지 다시 제출하면 마이너스 5 점을, 모레까지 제출하면 마이너스 10 점을, 그 후에 제출하면 무조건 0 점을 주겠다며 어떻게 하겠느냐한다.
So, I asked the professor to give me more chances and said I would resubmit. Since it should be equal for all students, 
he said that if you resubmit by tomorrow, you will get minus 5 points, if you submit by the day after tomorrow, you will 
get minus 10 points, and if you submit after that, you will get unconditional 0 points. What should you do? Do it.
곰곰히 계산을 해보니 5 점을 깍이더라도 다시하는 것이 아무래도 나을 듯하여 내 글을 다시 받아왔다.
After careful calculation, I thought it would be better to do it again even if it meant deducting 5 points, so I accepted my writing again.
집에 돌아와서 걱정을 하는데 옆집 학생이 학교신문을 보여주며 타이핑을 부탁해 보라는 것이었다.
When I returned home, I was worried, but the student next door showed me the school newspaper and asked me 
to type it.

미국학생이나 가정주부가 아르바이트로 논문을 타이핑해주고 돈을 버는데 타이핑 한장 당 50 - 75 센트 정도였고 스펠링이나 문법까지 봐주면 1불 에서 1불 25센트까지 받는 것이었다.
American students and housewives made money by typing papers as a parttime job. The fee was about 50 to 75 cents per page typed, and if they corrected spelling or grammar, they could receive anywhere from $1 to $1.25.

집에서 제일 가까운 모빌홈에 사는 어느 25세 가량의 가정주부에게 찾아 갔더니 책상옆에 학생들로 부터 요청받은 밀린 페이퍼가 가득쌓여있고 두손으로 타이핑하느라 분주하다.
When I visited a 25-year old housewife who lived in the mobile home closest to my house, I found that there was a pile of backlogged papers requested by students next to her desk, and she was busy typing with both hands.

내일 까지 제출해야 되는데 할 수 있겠냐고 하니까 걱정말라며 타이핑 만 7 년 째라며 자기보다 빨리 칠 수 있는 사람은 몇 명 안될꺼라며 두고가면 오늘밤 12시안 까지는 끝내놓겠다한다.
I have to submit it by tomorrow, but when I asked if she could do it, she told me not to worry, that she had been typing
for 7 years, and that there would be only a few people who could type faster than her, and that if I left it, she would finish it by 12 o'clock tonight.

밤 12시 30분경이 지나서 논문을 찾으러 갔더니 아직 안되었다며 워낙 일이 밀려서 그렇다며 내일 수업이 몇시에 있는지 그전 까지 반드시 해놓겠다는 약속을 믿고 집으로 돌아왔다.
After about 12:30 p.m., I went to pick up my thesis, but she said it wasn't done yet, saying it was because I had so much 
work to do. I returned home, believing his promise to find out what time tomorrow's class was by then.

오전 10시 경에 수업이 있었기 때문에 다음날 아침 8시 경에 전화를 했더니 다 끝냈다며 찾으러 오란다.
Since I had a class around 10 am, I called around 8 am the next morning and she said she had finished everything 
and would come pick it up.

다행이다 싶어 찾으러 같더니 페이퍼를 나에게 건네준다. 고맙다며 돈을 지불하고 내용을 살피니 앞의 표지에는 내 이름과 제목이 맞는데 다음장 내용은 내가 쓴 내용이 아니다.
Feeling fortunate, she went to look for it and handed me the paper. I said thank you, paid the money, and looked at the 
contents. My name and title were correct on the front cover, but the contents of the next page were not written by me.

"아이쿠" 하는 생각과 함께 몇점 더 받으려고 타이핑을 부탁한 것이 너무나 후회가 되었다.
I thought, “Oh my gosh,” and regretted asking for typing to get a few more points.

어차피 오늘 제출해도 95 점이 최고인데 돈 주고 괜한 짓을 한 것 같아 화도 났고 미국사람이라고 믿었던 내가 한심해 
보였다.
Anyway, even if I submitted it today, 95 points would be the best, so I was angry because I felt like I had done somethingpointless by giving money, and I felt pathetic for believing that she was an American.
미안하다며 30분 만 기다리면 금방 해준다는 말을 뒤로한채 돈을 다시 돌려 받아 집으로 향했다.

She said she was sorry and that she would just wait 30 minutes and she would get it done right away.
I took the money back and headed home.

수업 10분 전 교실에 앉아 불쾌하고 불안한 마음으로 로보트 박사에게 어떻게 말을 해야 할 지 전전긍긍하고 있는데
누군가 뒷쪽에서 "미스터 리! 미스터 리!" 하며 나를 부른다.
I was sitting in the classroom 10 minutes before class, feeling uncomfortable and anxious, wondering what to say to 
Dr. Robot, when someone called out from behind me, "Mr. Lee! Mr. Lee!" and calls me.

뒤돌아보니 오늘 아침 내 페이퍼를 잘못 타자해준 모빌홈에 살던 그 여자이다.

When I look back, I see that it is the woman who lived in the mobile home who typed my paper wrong this morning.

나에게 다가와 웃으면서 미안하게 되었다며 지금 다 타이핑이 끝나 가져왔다면서 페이퍼를 건낸다.

She came up to me, smiled, said she was sorry, and handed me the paper, saying that he had finished typing it and 
brought it back.

잠시 망설였지만 그래도 학교 교실까지 찾아와 준 그 성의에 감사한 마음이 들어 페이퍼를 받아들고 돈을 꺼내려는데
다섯손가락을 펼쳐 "5 BUCKS(5달러)" 만 달란다.

I hesitated for a moment, but I was still grateful for the kindness of the person who came to the school classroom, 
so I took the paper and was about to take out money, but she held out five fingers and asked for only "5 BUCKS ($5)."

그후로 나는 전문 타이핑 비서 및 영작문 교정 선생님을 갖게되었는데 친해진 후에는 서로 집으로 초대하여 음식도
나누는 친한 사이가 되었슴은 물론이다.
After that, I got a professional typing assistant and an English writing proofreader. After we became friends, 
of course we became close friends, inviting each other to our homes and sharing food.

내가 70이 넘었으니 브라운 교수는 무엇을 하고 있을까?  진작에 은퇴를 했겠지만 이제는 더이상 한국이 후진국이라고 
깔보진 않겠지?

 

Now that I'm over 70, what is Professor Brown doing?  I would have retired a long time ago, but now Korea is no longer 
an underdeveloped country. 
You won’t look down on me, righ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