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자랑스런 세종대왕
  • 이순신 장군
A Beautiful Life

최고의 화장품은 무엇인가?(What are the best cosmetics?)

by pure wisdom 2024. 12. 18.
반응형

페르세포네의 화장품(잠): Persephone's cosmetics (sleep)

 

언젠가 미국 펜실베니아 주립대 '샘 리차드' 교수가

진행하는 유튜브 방송에서 피부색에 대하여 각국의

학생들의 의견을 나누는 모습이 방영되었다.

One day, in a YouTube broadcast hosted by Professor 

Sam Richards of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a video of students from different countries sharing 

their opinions about skin color was aired.

 

한국여인들의 성형에 대한 관심이 타국에 비해 비교적

높았고 남성들의 화장하는 모습도 눈길을 끌었는데

동서를 막론하고 미(美)에 대한 열망은 사그러질줄

모르는 것 같다.

Korean women's interest in plastic surgery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other countries, and the sight of men

putting on makeup also attracted attention, and regardless

of whether it is East or West, the desire for beauty seems

unabated.

 

모든 남자들이 예쁜 여인들에게 눈길이 가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고 결혼 조건도 재력,학력.권력 등을 제치고

미모를 우선으로 한다는 뉴스를 보니 미(美)에 대한

세간의 관심이 대단함을 실감할 수 있다.

​It's so obvious that all men are attracted to pretty women.
It is natural, and the conditions for marriage are beyond 

wealth, education, power, etc.
When I see the news that beauty is a priority, 

I can realize that the public's interest in beauty is great.

 

미인을 나타내는 한자어로 경국지색(傾國之色). 만고상청

(萬古常靑),요조숙녀(窈窕淑女),절대가인(絶對佳人),해어화

(解語花),화용월태(花容月態),침어낙안(沈漁落雁) 등이

사용되는데 경국지색이나 침어낙안의 대표적인 미인으로

서시를 꼽을 수 있겠다.

The Chinese character for beauty is Gyeonggukjisaek 

(傾國之色). Mango Sangcheong(萬古常靑), Yojo Lady

(窈窕淑女), Absolute Great Person (絶對佳人),

Haeeohwa(解語花), Hwayongwoltae (花容月態), 

Chimeonagan (沈漁落雁), etc.


It is used as a representative beauty of Gyeonggukjisaek 

or Chimeoragan.
The first woman that comes to mind is Seo Si.

 

오왕 부차는 월왕 구천의 충신 범여가 보내온 서시의

미색에 빠져 마침내 멸망되었는데 속병이 있어 가슴에

손을 대고 찡그리는 서시의 모습이 어찌나 아름다운지

그나라의 젊은 처녀들이 서시의 흉내를 내느라 눈썹을

찡그리고 다닐 정도였다니 동양에서 윙크의 효시는

서시에게서 나온 듯 싶다.

King Bucha of oh country was finally destroyed after

falling for the beauty of seo si sent by Beomyeo,

a loyalist of King Gucheon of wol country.

 

The sight of seo si, who was suffering from an 

internal illness and frowning with her hand on 

her chest, was so beautiful that the young 

maidens of the country raised their eyebrows in 

imitation of seo si


It seems that the origin of the wink in the East 

came from Seo-si, as he was so much like frowning.

 

한편, 해어화(말을 알아듣는 꽃) 하면 생각나는

미인은 양귀비이다.

 

당나라 현종이 봄기운 가득한 뜨락을 거닐다

양귀비가 생각나 불렀는데 마침 술에 취해 낮잠을

자려고 누워 있던 양귀비가 부름을 받고 시녀들의

부축을 받아 비틀거리며 나타났는데 황제가 바라보니

술에 취해 두볼이 발그레한 모습이 더욱 사랑스러워

"아직도 술이 덜 깨었는가?" 하고 물으니 대답이

걸작이다.

 

'해당미수각(海棠未睡覺)' 즉, '잠이 덜 깬 해당화' 가

아닌가?

그때 부터 해당화는 '수화(睡花-잠자는 꽃)

라는 다른 애칭을 가지게 되었다 한다.

Meanwhile, when you think of Haeeohwa (a flower that 

understands speech), the beauty that comes to mind is

yang gyi bi.


Emperor of the Dang Dynasty was walking in the spring-

filled countryside when he remembered Yang Guibi and

called out to her.

 

Yang Guibi, who was drunk and lying down to take a nap,

was called and was helped by her maids,

so she staggered out.

 

The emperor looked at her, her cheeks drunk.

The blushing look is even more adorable.

“Are you still sober?”

He asked, and the answer was a masterpiece.


Isn't it 'Haedangmisugak (海棠未睡覺)', that is,

'Haedanghwa that is half-asleep'? From then on, the

corresponding flower came to have a different nickname,

'Suhwa (睡花-sleeping flower)'.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여인 중에 가장 아름다운 사람은

누구일까? 세상에서 가장 아름답다는 여신 '헤라'와

'아테나'를 제끼고 목동 '파리스'에게서 황금사과를 받음

으로서 명실공히 최고의 '미'의 자리에 오른 여신

'아프로디테'가 질투할 정도로 아름다운 여인 이

있었으니 그녀의 이름은 '프쉬케(나비)'였다.

Who is the most beautiful woman in Greek mythology? 

She beat the goddesses ‘Hera’ and ‘Athena’, who were 

said to be the most beautiful in the world, and received 

a golden apple from the shepherd ‘Paris’.


There was a woman so beautiful that the goddess 

'Aphrodite', who was in the position of the greatest 

'beauty' both in name and reality, was jealous,

and her name was 'Psyche (butterfly)'.

 

'에로스'의 연인 '프쉬케'가 시어머니가 될 '아프로디테'의

미움을 받고 저승으로 심부름을 떠났는데 저승의

신 '하데스'의 아내인 '페르세포네'에게 가서 신이 쓰는

화장품을 얻어오는 일 이었다.

'Psyche', the lover of 'Eros', was hated by 'Aphrodite', 

who would be her mother-in law, and went on an errand

to the underworld.

 

She went to 'Persephone', the wife

of 'Hades', the god of the underworld,
It was about getting cosmetics.

 

우여곡절 끝에 화장품을 손에 넣었으나 여인의 호기심을

참치 못하여 상자를 여는 순간 잠의 신 '휘프노스' 에게서

얻어둔 잠의 씨들이 일제히 날아와 '프쉬케'를 잠들게 한다.

After many twists and turns, he obtained the cosmetics, 

but the woman's curiosity created a problem.


The moment she couldn't resist and opened the box,

She was greeted by 'Hypnos', the god of sleep.
The seeds of sleep that have been acquired fly all at once 

and put ‘Psyche’ to sleep.

 

'에로스'와 '아프로디테'에게 좋지 않은 감정을 가지고 있던

'페르세포네'가 앙심을 품고 화장품대신에 상자안에 잠을

집어넣어 골탕을 먹이려 했는데 가여운 여인 '프쉬케'가

잠의 희생양이 된 것도 수면이 신들의 화장품을 대신 할
정도로 훌륭한 가치가 있다는 사실을 은연중 나타낸 것은

아닐지?

'Persephone' had bad feelings towards ‘Eros’ and ‘Aphrodite’.

He held a grudge and put the sleep instead of cosmetics in

the box.

 

The reason why she became a victim of sleep is because

sleep replaces the cosmetics of the gods.


It implicitly shows that it has great value. Probably not?

 

결국 '에로스(사랑)'와 '프쉬케(나비/마음)'가 마침내 결합하여

결혼에 성공하니 가수 '현철'의 가사대로

"사랑은 나비 인가봐!" 가 새삼 이해가 되는 듯 하다.

In the end, 'Eros (love)' and 'Psyche (butterfly/heart)' finally 

combined and succeeded in marriage, and as singer 

'Hyuncheol' said in the lyrics, "Love must be a butterfly!" 

I think I understand again.

 

이처럼 사람이나 신을 막론하고 자기보다 예쁜이를 보면 질투

하고 참지를 못하는게 여인의 본능일까?

동화 백설공주에 나오는 계모 왕비도 공주가 자기보다

예쁘다는 거울의 답변을 듣고 공주를 죽이려 하지

않었던가?

Is it a woman's instinct to be jealous and impatient when

she sees someone prettier than her, regardless of whether

she is a person or a god?

The queen's stepmother in the fairy tale Snow White also tries 

to kill the princess after hearing the mirror's answer that the 

princess is prettier than her.
Wasn't it?

 

물에 비친 자기의 아름다운 모습에 도취되어 결국은 탈진하여

죽은 미소년 '나르키소스' 처럼 유난히도 화장하기를 즐겨하여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수백개의 가발을 번갈아 사용했다고

한다.

 

거울에 비친 아름다운 자신의 얼굴을 바라보며 화장하는

낙으로 살았다하는 엘리쟈베스여왕도 세월이 흘러가면서

유리거울에 비친 자신의 늙은 모습에 화가 나서 거울 판매

금지령 까지 내렸다하니 늙음을 퇴치할 화장품은 아직까지

없는 듯하다.

Like Narcissus, a handsome boy who was intoxicated by his 

own beautiful reflection in the water and eventually died of 

exhaustion, he enjoyed putting on make up.

 

For the first time in human history, he used hundreds of wigs

in turns and enjoyed putting on make-up while looking at

his beautiful face reflected in the mirror.

 

Queen Elizabeth, who is said to have lived, was so angry at

seeing her old appearance reflected in glass mirrors as time

went by that she even issued a ban on the sale of mirrors,

so it seems that there are still no cosmetics to combat aging.

 

서시,양귀비외에 왕소군,초선을 중국을 대표하는 4 대 미인으로

일컫는데 가장 못 생긴 여인으로는 제갈공명의 부인인 황승언의

딸이 대표적일 것이다.

 

그녀는 비록 용모는 추했지만 천문 지리에 밝아 육도,삼략,둔갑

에 달인이었다고 전해지며 최초로 움직이는 개와 호랑이 로보트

뿐 만 아니라 절구질을 하는 나무로 만든 로보트를 만든 기인

이었다.

In addition to Seo si and Yang GuiBI, Wang so gun and Cho sun

are considered to be the four great beauties representing China.

The ugliest woman is Zhuge Gong myong 's wife, Hwang

Seung-eon's daughter, would be a representative example. 

Although she had an ugly appearance, she was well versed 

in astronomy and geography, and was said to be an expert 

in the six paths, three directions, and transformation. 

 

She was the first person to create not only moving dog and 

tiger robots, but also wooden robots that could use a mortar.

 

또한 박씨전에 나오는 금강산 박처사의 딸인 박씨도 그 모습

이 하도 추해서 남편 시백은 물론 시댁 식구들에게 조롱과

천대의 대상이었는데 하룻밤에 시아버지의 조복을 짓고,

비루먹은 말을 천리마로 키워 가세를 일으키고,

남편 시백을 장원급제 시키는 등, 놀라운 재주를 보이다가

결혼한 지 3 년 만에 허물을 벗고 절세미인이 된다는

고대소설도 흥미를 유발한다.

In addition, Park, the daughter of Master Park of 

Geumgangsan Mountain, who appears in the biography of

 Park, was so ugly that she was the object of ridicule and 

contempt by her husband Sibaek as well as her in-laws..

 

She made her father-in-law's formal attire in one night,
Raise a dirty horse into a thousand miles horse and gain

momentum.

 

The ancient novel about a woman who showed amazing

talent, such as passing the civil service exam, but only t

hree years after her marriage sheds her skin and becomes

a peerless beauty, also arouses interest.

 

이처럼 많은 사람들이 외모에는 신경을 쓰지만 내적인 미에는

관심이 없는 듯 하다.

'달마도'에 그려져 있는 얼굴을 보면 인도 향지국의 세째 왕자

였던 달마대사의 얼굴이라고 믿기 어려울 정도로 추남이다.

 

길가에 죽어서 썩어가는 커다란 뱀을 치우려고 잠시 자기 몸을

버리고 뱀의 몸에 들어가 바다에 수장시키고 나온 사이 '신선도'

를 수행하던 흉칙하게 생긴 사람이 버려진 몸으로 알고 자기몸

을 버려두고 대사의 몸을 취했던 것인데 대사는 자기 몸을 찾을

수 없어 부득불 그 추한 사람의 몸을 취한 까닭이라 한다.

Like this, many people care about their appearance, 

but they don't seem to be interested in inner beauty.


Looking at the face depicted in 'Dharma Painting', it is so ugly

that it is hard to believe that it is the face of Master Bodhidharma,

the third prince of the Hyangji Kingdom of India. 

To get rid of a large dead and rotting snake on the side of the 

road, he abandons his body for a moment, enters the snake's 

body, and falls into the sea.


While he was leaving, an ugly looking person who was practicing

Shinseondo abandoned his own body and took the body of the

Great Master, thinking it was an abandoned body.

 

It is said that the Great Master was unable to find his own body

and was forced to take that ugly person's body.

 

추한 모습의 달마도가 오히려 친근하게 느껴지니 중생을 위하여

자기 몸을 양보한 자비심이 빛을 발 함은 아닐지...

 

얼짱, 몸짱만이 부각되는 이 시대에 맘짱(아름다운 마음을 가진 사람)

이 많이 생겼으면 하는 바램이다.

The ugly-looking Bodhidharma feels rather friendly, so perhaps

the compassion that gives up one's body for the sake of living beings

shines through...

In this era where only good looks and good bodies are highlighted, 

I hope that there will be more mom-jjang (people with beautiful hearts).

반응형